회계.세무.원가 관련(46)
-
초보 사업자 절세방법
■초보 사업자가 숙지하면 좋은 절세방법 -매입액, 인건비, 임차료, 공과금 등 적격증빙 수취 -노란우산공제로 폐업 대비 및 소득공제 효과 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당장 업무에 신경쓰다보면 세금 문제는 신경쓸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주위에서도 그런분들이 많고 신경을 좀 쓰신다는 분들도 확인하면 임차료, 관리비 등 고정지출은 신경쓰지만 나머지 부분은 신경을 많이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우선 기본적으로 세금계산서, 계산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매출전표 등의 적격증빙을 받는 습관을 들이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1인 사업자가 아니라면 인건비를 많이 신경써야 할 것 같다고 생각된다. 사업이 커지게되면 비용부분의 높은 비율은 인건비가 차지하게 된다. 인건비는 신고를 해야지만 사업의 인건비용으로 ..
2021.11.23 -
간이과세자의 장점.단점
간이과세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이야기 하기전에 세법 변경에 대해 이해를 하고 넘어갑시다. 2021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현재의 연 매출액 기준이 4,8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단, 부동산임대업, 유흥업의 경우에는 기존의 4,800만원의 기준이 그대로 적용됨) 부가세 납부금액 면제에 대해서도 기존은 연 매출액 3,000만원 미만일 경우에 납부의무가 면제되었으나 개정안에는 연매출액 4,800만원으로 상향조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간이과세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간이과세자의 장점 1. 부가가치세의 신고. 납부가 편리합니다. 간이과세자는 일반과세자와 달리 1년에 한번만 신고.납부하면 됩니다. 일반과세자가 1년에 2번(1기, 2기 확정)하는것에 비해서 ..
2020.10.21 -
명절선물은 복리후생비일까?
추석들은 모두 잘 보내셨을까요? 오늘 다뤄볼 내용은 지금까지 회사에서 예전부터 해오던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사실 명절에 직원들에게 줄 선물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죠. 이런경우 회사에서는 업체에 세금계산서를 요청해서 입금처리를 실무상으로 많이 처리합니다. 실제로 제가 다니는 회사도 이렇게 계속 진행을 했었죠. 하지만 세법의 규정으로 따져서 본다면 이는 잘못된 처리방식입니다. 법인세법시행령 제45조에 따르면 복리후생비로 처리해야하는 항목이 정해져있고 그 외의 경우에는 복리후생비로 처리는 불가하다고 법령에 명시가 되어있는 것이죠. 따라서 명절에 직원들을 위해 구입한 선물은 복리후생비로 처리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맞는 방법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ㅁ법인세법시행령 참조 제45조(복리후생..
2020.10.16 -
원가보고서는 법인세신고시 제출서류인가?
회사에서 재무회계 업무를 하다보면 회사에서 작성하는 제조원가보고서를 법인세 신고할 때 필수 서류일까?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물론 이 의문에서 시작해서 법령을 찾다보니 결국은 제조원가보고서는 해당제출서류에 포함된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아래 ③의 기타 부속서류에 해당됨) 1. 법인세법 제60조 ②[법인세 고세표준 및 세액신고서(별지 1호)]에 아래 서류를 첨부해야함. ①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하여 작성한 개별 내국법인의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결손금처리)계산서②세무조정계산서(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계산서, 별지 3호 서식)③기타 부속서류 및 현금흐름표, 표시통화재무제표.원화재무제표④피합병법인 등의 재무상태표, 합병 분할로 승계한 자산.부채명세서 등 -> ① ~ ④의 서류를 첨부하지 않..
20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