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13:42ㆍ경제.부동산
우리는 보통 재테크 수단으로 아파트를 매입합니다.
최근에는 투기조장이라고 규제가 엄격하고 강하게 들어오지만 그래도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인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과거에서부터 되풀이 해왔고 지금도 하는 사람들은 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우리는 부동산 가격인지? 아니면 아파트 투자로 돈을 벌고싶은건지?
투자의 본질은 얼마나 차익을 많이 남기는가에서 시작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
1. 최저가 매입
2. 위치와 조건이 좋은 가격상승의 여력이 있는 지역
이라는 조건이 걸립니다.
예전 역사를 돌이켜보면 대략 5년전으로 생각을 하면.
1~2년 정도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다. 계속 상승하다가 그러면서 언젠간 멈추겠지 한다.
3~5년 정도 되어버리면 상승한 금액이 시세가 형성되고 해당금액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역사는 되풀이 된다.
식료품 가격, 교통비 가격은 모두 물가상승과 맞물려서 조금씩 상승한다.
상승이 있지만 하락은 잘 없다. 모든것이 올라간다.
차이점은 어떤게 많이 오르냐. 어떤게 적게 오르냐의 차이랄까.
▶최저가 아파트 구입
ㅁ무조건 바닥금액
1. 폭락시장의 분위기에서는 아무도 집을 안산다. (매수자 우위 시장임)
2. 결과 매매가격은 점점 떨어진다. 반대로 전세가격은 올라감. (전세역전 현상, 깡통전세라고 흔히 말함)
3. 전세가율이 오른다.
4. 결국 매매가격은 어느정도에서 멈춘다. 전세가격은 반대로 계속 오른다.
5. 위 4. 와 같은 현상이 온다면 이시점은 바닥점이다.
6.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비슷함. -> 최적의 투자매입 타이밍으로 본다.
(단, 전세, 매매가격이 같이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입지문제, 공급,수요문제 다양하다.)
ㅁ물량체크
미분양, 입주예정물량, 인허가 물량의 공급량 체크
공급과 수요가 중요한데 제일 중요한건 공급으로 생각하는게 편리하다.
ㅁ동급의 시, 군을 비교.
부산가격, 대전가격 (광역시 비교) - 서로 비교해서 어디가 저점인가
해운대, 서울강남 비교 (도시 안에서도 비슷한 위치의 구 비교)
ㅁ이미 최근에 많이 오른 건 제외
투자금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더 오를 가능성이 있어도 제외함.
아직 안오른 지역이 많기 때문에 그 지역에 집중.
물론 투자자분들이 모두 저평가된 지역의 아파트를 매입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투자자의 안목이란것이 모두 비슷한면이 약간은 있다보니 특정지역에 투기세력이 몰렸다는 기사를 접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경제.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단타매매 지식공유 (0) | 2022.07.12 |
---|---|
7월부터 연봉이내 신용대출 한도제한 해제예상 (0) | 2022.07.08 |
하반기 변경되는 부동산관련 세금 정리 (0) | 2022.07.01 |
가족 간 금융상식, 자녀 세뱃돈 주식투자 증여여부 (0) | 2022.06.30 |
전세권 설정서류 및 방법 (0) | 2022.06.29 |